제과기능사 모의시험 63점 (합격) 비회원 0 8 04.09 20:01 풀이가 있는 문제는 클릭해서 해설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시험에 자주 나오는 개념을 중심으로 간결하고 명확한 해설을 제공합니다. 아직 해설이 없는 문제는 문제를 클릭해 상세 화면에서 댓글로 요청해주시면 우선 검토해 등록해드립니다. 번호 문제 결과 1 풀이 반죽형 케이크를 구웠더니 너무 가볍고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원인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①이다. 반죽형 케이크가 너무 가볍고 부서지는 원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반죽에 밀가루 양이 많았다'이다. 밀가루 양이 많으면 오히려 조직이 조밀해지고 단단해지므로 문제에서 제시한 현상과 반대이다. 2 풀이 제빵 시 적절한 2차 발효점은 완제품 용적의 몇 %가 가장 적당한가? 정답은 ③ 70~80%입니다. 제빵에서 2차 발효(중간 발효 또는 팬 발효)는 반죽이 오븐에서 잘 부풀고, 좋은 조직과 풍미를 얻도록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때 완제품의 목표 용적의 약 70~80%까지 부풀렸을 때가 가장 적당합니다. 3 풀이 케이크 도넛을 제조할 때 설탕을 정상보다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결과는? 정답은 ③ 기공이 열린다. 설탕을 정상보다 많이 사용하면 반죽의 점도가 낮아지고 가스 보유력이 떨어져 도넛 내부 기공이 크게 열린다. 4 풀이 퍼프 페이스트리 제조 시 팽창이 부족하여 부피가 빈약해지는 결점의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정답: ① 반죽의 휴지가 길었다. 퍼프 페이스트리 부피 부족의 대표적 원인은 반죽의 휴지가 부족하거나, 밀어 펴기·유지·굽기 온도에 문제가 있을 때이다. 반죽의 휴지를 충분히 하면 오히려 결합이 안정되어 부피 팽창에 도움을 준다. 5 풀이 파이를 만들 때 소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정답은 ④ 다른 재료의 맛과 향을 살린다. 파이 반죽에 소금을 넣는 주된 이유는 자체적인 짠맛보다는 다른 재료의 맛과 풍미를 강조하고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6 풀이 제과에서 설탕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답은 ① 부피의 증가이다. 설탕은 주로 단맛(감미), 연화, 수분의 유지 등 여러 기능이 있으나, 반죽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역할은 거의 하지 않는다. 7 풀이 과자의 반죽 방법 중 시퐁형 반죽이란? 정답은 ④ 계란을 흰자와 노른자를 분리하여 믹싱한다. 시퐁 반죽은 계란의 흰자와 노른자를 분리해서 각각 믹싱한 뒤 다시 합치는 방법으로, 특유의 가볍고 부드러운 조직을 만든다. 8 풀이 화이트 레이어 케이크의 반죽 비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은 ④ 0.75~0.85이다. 화이트 레이어 케이크의 적정 반죽 비중은 0.75~0.85로, 케이크가 부드럽고 조직이 고르게 나오기 위한 기준이다. 9 풀이 반죽의 비중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정답: ④ 제품의 점도. 반죽의 비중은 반죽 속에 기포가 얼마나 들어가 있는지, 즉 반죽의 가벼움 혹은 무거움을 나타내는 수치로, 제품의 부피, 기공, 조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점도(물질의 끈적임 정도)는 비중과는 별개의 개념으로 상대적 관계가 적다. 10 풀이 제빵의 일반적인 스펀지 반죽방법에서 가장 적당한 스펀지 온도는? 정답은 ③ 23~25도이다. 스펀지 반죽법에서는 발효에 적합한 온도(약 23~25℃)를 유지해야 이스트 활동이 원활하여 풍미와 조직이 좋은 빵을 만들 수 있다. 11 풀이 스펀지케이크 제조시 계란의 사용량을 줄이려고 한다. 옳지 않은 것은? 정답은 ③ 밀가루 사용량을 줄인다. 계란의 사용량을 줄이면 다른 재료로 구조와 팽창성을 보완해야 한다. 밀가루를 줄이면 오히려 조직 형성을 방해하여 스펀지케이크의 품질이 떨어진다. 12 풀이 일반적인 과자반죽의 결과 온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정답은 ② 22~24℃이다. 일반적인 과자 반죽의 결과 온도는 버터와 설탕, 계란이 잘 섞이고 반죽의 조직이 가장 이상적으로 형성되는 22~24℃가 적합하다. 13 풀이 반죽형 케이크를 구웠더니 너무 가볍고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원인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① 반죽에 밀가루 양이 많았다.입니다. 반죽형 케이크가 너무 가볍고 잘 부서지는 원인은 주로 쇼트닝, 팽창제 사용 과다, 크림화 지나침이지만, 밀가루 양이 많을수록 오히려 조직이 치밀해져 가벼워지지 않고 부서지기 어렵습니다. 14 풀이 소금이 제과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④ pH를 조절한다. 소금은 주로 맛 조절, 글루텐 강화(반죽의 물성), 잡균 억제, 발효 조절 등의 역할을 하지만, 반죽의 pH 조절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15 풀이 빵의 원재료 중 밀가루의 글루텐 함량이 많을 때 나타나는 품질적 결함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④ 윗면이 검다. 밀가루의 글루텐 함량이 많을 때 주로 나타나는 결함은 두꺼운 겉껍질, 불규칙한 기공, 비대칭성 등이며, 윗면이 검게 되는 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16 풀이 동일한 분할량의 식빵 반죽을 25분 동안 주어진 온도에서 구웠을 때 수분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정답은 ① 190℃ 입니다. 온도가 낮을수록 오븐 내부에서 수분이 덜 증발하므로 빵의 수분함량이 높게 남습니다. 17 풀이 1인당 생산가치는 생산가치를 무엇으로 나누어 계산하는가? 정답은 ① 인원수. 1인당 생산가치는 전체 생산가치를 투입된 인원수로 나눈 값으로, 개인별 평균 생산 능력을 의미한다. 18 풀이 제빵에 사용되는 압착생효모의 수분함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정답은 ① 약 70%이다. 압착생효모는 제빵에 가장 널리 쓰이는 효모로, 수분 함량이 약 70% 내외로 적당하다. 19 준비 냉동반죽법의 재료 준비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풀이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20 풀이 냉동반죽법의 단점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① 휴일작업에 미리 대처할 수 없다. 냉동반죽법은 반죽을 미리 만들어 냉동해놓고 필요할 때 해동·사용할 수 있어 휴일작업 대처가 용이하다. 나머지는 모두 냉동반죽법의 대표적인 단점에 해당한다. 21 풀이 액체발효법에서 액종 발효 시 완충제 역할을 하는 것은? 정답은 ① 탈지분유이다. 액체발효법에서 액종 발효 시 완충제 역할을 하는 주요 재료는 탈지분유로,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을 중화하여 pH 변화를 완화한다. 22 풀이 스펀지법(sponge &dough method)에서 가장 적합한 스펀지 반죽의 온도는? 정답은 ②번 22 ~ 26℃이다. 스펀지법에서 발효 효모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스펀지 반죽 온도는 22~26℃로, 이 온도 범위가 효모의 발효와 반죽의 품질에 가장 좋다. 23 풀이 냉동빵에서 반죽의 온도를 낮추는 가장 주된 이유는? 정답은 ③번 이스트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입니다. 냉동빵의 반죽 온도를 낮추는 가장 큰 목적은 이스트의 활발한 발효를 방지하고, 냉동·해동 과정에서 생기는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24 준비 완제품 중량이 400g인 빵 200개를 만들고자 한다. 발효 손실이 2%이고 굽기 및 냉각손실이 12%라고 할 때 밀… 풀이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25 풀이 단백질 함량이 2% 증가된 강력밀가루 사용시 흡수율의 변화의 가장 적당한 것은? 정답은 ③ 3% 증가이다. 단백질 함량이 2%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약 2~3% 정도 증가한다. 이는 단백질이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크기 때문이다. 26 풀이 포장 전 빵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정답은 ① 노화가 빨라진다. 빵의 포장 전 온도가 너무 낮으면 전분이 빠르게 노화되어 제품의 부드러움과 신선도가 떨어진다. 27 풀이 굽기 중에 일어나는 변화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것은? 정답은 ④ 단백질 변성이다. 빵을 굽는 중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며, 그 중 단백질이 변성되는 온도가 가장 높다. 각 현상별로 발생 온도가 다르므로 구분하는 게 중요하다. 28 풀이 대량 생산 공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븐으로 반죽이 들어가는 입구와 제품이 나오는 입구가 다른 오븐으로 통과되는 속도와… 정답은 ② 터널오븐(Tunnel oven)이다. 터널오븐은 입구와 출구가 다르고, 반죽이 오븐 내부를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서 열을 받아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29 풀이 빵 굽기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 ①.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오버 베이킹(overbaking)이 아니라 주로 표면이 빨리 타고 내부는 미처 익지 않는 언더 베이킹(덜 익힘) 문제가 발생합니다. 오버 베이킹은 높은 온도보다는 너무 오래 구웠을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30 준비 팬닝시 주의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풀이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31 풀이 밀알의 구성요소중 밀가루가 되는 내배유의 비율은 얼마인가? 정답은 ④번 83%이다. 내배유는 밀알에서 밀가루를 만드는 주된 부분으로 전체 밀알에서 약 83%를 차지한다. 32 풀이 어떤 케이크를 생산하는데 전란이 1000g필요하다. 껍질 포함 60g짜리 달걀은 몇 개 있어야 하는가? 정답은 ② 19개이다. 껍질을 포함한 달걀 1개의 무게가 60g이므로, 전란 1000g을 얻으려면 필요한 달걀 수는 1000g ÷ 60g = 16.666...이지만, 실제로는 소수점 이하는 쓸 수 없으므로 17개여야 할 것 같지만, 문제에서 전란 1000g이라고 했으니 껍질 제외 무게를 고려하는 함정을 염두에 두어 19개가 정답이 된다. 이는 조리 시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함정 포인트임. 33 풀이 자유수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정답: ④ 자유수는 염류, 당류 등을 녹이며 용매로서 작용합니다. 식품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미생물 생장에 이용될 수 있고,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도 참여합니다. 34 풀이 지방질 대사를 위한 간의 중요한 역할 중 잘못 설명한 것은? 정답은 ①이다. 지방질 섭취가 부족할 때 간은 케톤체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탄수화물 섭취 부족 시 지방이 분해되어 케톤체가 만들어진다. 즉, 케톤체 생성은 지방질 섭취 부족이 아닌 탄수화물 부족과 더 밀접하다. 35 풀이 지방산의 이중 결합 유무에 따른 분류는? 정답은 ④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입니다. 지방산은 이중 결합 유무에 따라 포화지방산(이중 결합 없음)과 불포화지방산(이중 결합 있음)으로 나뉩니다. 36 풀이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어야 하는 아미노산과 거리가 먼 것은? 정답은 ② 글루타민(glutamine)이다.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물로 섭취해야 하며, 글루타민은 체내에서 합성 가능한 비필수 아미노산이다. 37 풀이 포도당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정답은 ②. 포도당은 설탕에 비해 삼투압은 높지만, 감미도는 낮다. '감미가 높다'는 틀린 설명이다. 38 풀이 천연 버터와 마가린의 가장 큰 차이는? 정답은 ② 지방산이다. 천연 버터와 마가린의 가장 큰 차이는 사용되는 지방산 성분의 종류와 함량에 있다. 버터는 동물성 지방(주로 포화지방산)이 주 성분이고, 마가린은 식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제품으로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39 풀이 지용성 비타민의 특징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②번이다. 지용성 비타민은 체내에 비교적 오래 저장되므로 단기간에 결핍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수용성 비타민이 결핍 시 단기간에 증상을 보이는 편이다. 40 풀이 자유수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정답은 ④ 염류, 당류 등을 녹이고 용매로서 작용한다. 자유수는 식품 내에서 다른 성분(염류, 당류 등)을 녹이고 용매 역할을 하는 물을 뜻한다. 41 풀이 밀알 중에서 밀가루가 되는 부분은? 정답은 ③ 내배유이다. 밀가루는 밀알에서 내배유 부분을 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42 풀이 밀가루 중 밀기울의 혼합율을 측정하는 기준 성분은? 정답은 ② 회분이다. 밀기울의 혼합 정도, 즉 밀가루에 섞인 밀기울의 양을 알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기준 성분은 회분이다. 회분 함량이 높을수록 밀기울의 함유율이 높음을 의미한다. 43 풀이 달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정답은 ③이다. 달걀 껍질은 주로 탄산칼슘(CaCO₃)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 성분 중에서 탄산칼슘의 비율이 가장 높다. 44 풀이 육두구과의 상록활엽교목에 맺히는 종자를 말리면 넛메그가 된다. 이 넛메그의 종자를 싸고 있는 빨간 껍질을 말린 향신료… 정답은 ③ 메이스이다. 넛메그의 씨앗을 싸고 있는 붉은색 껍질(종피)을 말린 향신료가 메이스이다. 45 풀이 다음 중 아미노산을 구성하는 주된 원소가 아닌 것은? 정답은 ④ 규소(Si)이다. 아미노산의 기본 구성 원소는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이며 규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46 풀이 대장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정답은 ② 그램(gram)양성이다. 대장균은 그램음성균이며, 그램양성균이 아니다. 47 풀이 아플라톡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은? 정답은 ① 곰팡이입니다. 아플라톡신은 대표적으로 곰팡이류인 아스페르길루스 속(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parasiticus 등)에서 생성되는 독소입니다. 48 풀이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가장 적당한 예방책은? 정답은 ④ 건강보균자나 환자의 분변 오염을 방지한다. 이는 병원성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한 식중독의 대표적인 감염 경로인 분변-경구 감염을 차단하는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예방법이기 때문이다. 49 풀이 전염병의 발생요인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④ 계절이다. 전염병의 발생요인은 전염원, 전염경로, 숙주 감수성으로 구성되며 계절은 발생요인에 직접 포함되지 않는다. 50 풀이 이형제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정답은 ②. 이형제란 빵이나 케이크 등 제과·제빵 제품을 구울 때 틀에 달라붙지 않고 잘 떨어지게 해 주는 첨가물이다. 51 풀이 인축공통전염병인 것은? 정답은 ① 탄저병이다. 탄저병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 감염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이다. 52 풀이 보존료의 이상적인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정답은 ④ 다량으로 효력이 있을 것. 보존료의 이상적인 조건은 소량으로도 효과가 있어야 하며, 다량으로 효력이 있다는 것은 이상적인 조건과 거리가 멉니다. 53 풀이 식품의 처리, 가공, 저장 과정에서의 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정답은 ①이다. 종업원의 철저한 위생 관리만으로 2차 오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 작업 환경, 설비, 기구 등 주변 요소에 의한 오염 가능성까지 통제해야 한다. 54 준비 팽창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풀이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55 준비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허용되어 있지 않는 감미료는? 풀이가 아직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56 풀이 식품의 변질에 관여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정답은 ② 압력이다. 식품의 변질에는 pH, 수분, 산소 등 화학적·생물학적 요인이 직접적으로 관여하나, 압력은 일반적으로 변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7 풀이 경구전염병의 예방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정답은 ①. 모든 식품을 일광 소독하는 것은 경구전염병 예방법으로 부적합하다. 햇볕(일광)은 식품 내 세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오히려 식품을 변질시킬 수 있다. 58 풀이 인체 유래 병원체에 의한 전염병의 발생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개인위생관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은 ④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 건강검진을 통해 감염병 증상이 있거나 전염병에 노출된 경우를 조기에 발견해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집단 내 전파까지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59 풀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식중독 원인균은? 미호기성 세균이다. 발육온도는 약 30~46℃ 정도이다. 원인식품은 오염된 식육 … 정답은 ① 캄필로박터 제주니이다. 미호기성, 30~46℃ 성장, 오염된 육류 및 우유, 소아에서 이질형 설사라는 특징이 모두 캄필로박터 제주니의 전형적 증상 및 특성에 해당한다. 60 풀이 보존료의 이상적인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정답은 ④이다. 보존료의 이상적인 조건은 소량으로도 효과가 크고 독성이 없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 방법이 쉬워야 한다. '다량으로 효력이 있을 것'은 맞지 않는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