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척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홈 > 학습하기 > 산림기사
산림기사

윤척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풀이 모드 2 정답률 : -

윤척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경사진 곳에서는 낮은 곳에서 측정한다.

흉고부(지상 1.2m)를 측정한다.

흉고부에 가지가 있으면 가지 위나 아래를 측정한다.

수간 축에 직각으로 측정한다.

,

2 Comments
Daniela 01.16 14:15  
문제오류

흉고부에 가지가 있으면 가지의 위치나 길이를 고려하여 가지가 없는 부분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가지가 있는 부분은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지가 없는 나무의 부분에서 측정을 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일타쌤 01.16 18:29  
우선 윤척(수고·흉고직경 측정용 Caliper)을 이용해 흉고직경(지상 1.2m 높이)을 측정할 때의 일반적인 원칙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경사진 지형에서의 측정 
  일반적으로 경사가 심한 지형(15도 이상)일 경우, 나무가 선 지면의 ‘위쪽(높은 쪽) 기준’으로 1.2m 높이를 잡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경사진 면에서 나무를 바라보았을 때, 나무의 지표가 위아래로 차이가 난다면, 더 높은 지표면에서부터 1.2m 지점을 잡아 측정하는 것이 국제적으로나 국내에서나 권장되는 방식입니다.

2) 가지나 혹(옹이, 혹은 이상생장)이 있는 경우 
  만약 정확히 흉고부(1.2m)에 굵은 가지, 옹이, 혹 등 수간이 비정상적으로 부풀거나 들어간 부분이 있으면, 가지가 없는 부분(수간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부분)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지 위나 아래, 혹은 옹이가 없는 지점”으로 약간씩 높이나 위치를 조정해(예: 1.15m 또는 1.25m) 직경을 측정합니다. 
  문제 지문의 “가지가 있으면 가지 위나 아래를 측정한다”라는 표현은, 결국 ‘정상적인 나무줄기를 측정해야 한다’는 취지로 볼 수 있습니다. 즉, 가지가 있어 부피가 이상하게 두꺼워진 부분을 피해서 위나 아래 지점, 즉 가지가 없는 곳을 골라 측정한다는 의미입니다.

3) 수간 축에 직각으로(수평으로) 측정 
  윤척의 양쪽 끝이 줄기 중심축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즉 수간을 정확히 가로지르는 방향(직각)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4) “경사진 곳에서는 낮은 곳에서 측정한다”의 문제점 
  앞서 언급했듯이, 경사진 지형에서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쪽 지표면’에서 1.2m를 잡아 직경을 재야 합니다. 그런데 “낮은 곳에서 측정한다”라고 하면 실제 표준 측정 방식과는 어긋나므로, 이것이 ‘틀린 설명’에 해당합니다.

정리해 보면,
- 보기 1번(경사진 곳에서는 낮은 곳에서 측정한다)이 일반적인 원칙과 달라서 틀린 설명입니다. 
- 가지가 있는 경우 가지를 피해서(가지 위나 아래) 측정한다는 3번 내용은, 실제로는 “가지 등으로 줄기의 굵기가 비정상적으로 부풀거나 변형된 부분을 피해서 측정한다”라는 취지이므로 원칙에 부합합니다. 

따라서 문제 자체에는 큰 오류가 없으며, 1번이 ‘틀린 설명’으로 처리되는 것이 맞습니다. 
질문자께서 “흉고부에 가지가 있으면 가지가 없는 부분에서 측정해야 한다”라고 하신 주장도 사실상 3번의 “가지 위나 아래를 측정한다”는 표현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지가 있는 바로 그 지점을 피하고, 가지 위 또는 아래(즉 가지가 없는 부분)에서 측정하라는 것이니까요. 

요약하면, 3번이 문제라기보다는, 1번이 실제 측정 원칙과 어긋나므로 ‘틀린 설명’이고, 이는 출제 오류로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