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은?

팝업레이어 알림

e881cda2338fe2f54e482e9f188f7c72_1682930450_1093.jpg


ae9bf1983599c20a98079b6bcc492e88_1716346166_1083.png

홈 > 학습하기 > 산림기사
산림기사

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은?

문제풀이 모드 2 정답률 : -

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은?

이끼류

개여뀌

질경이

밤나무

,

2 Comments
Daniela 01.16 15:09  
정답오류
일타쌤 01.16 18:34  
먼저 “연해(沿海)의 검지식물”이란, 해안가나 염분이 비교적 많은 토양(염해 지역)에서 잘 자라거나 그 환경을 잘 견디는(혹은 그 환경을 ‘드러내 주는’) 식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식물은 토양 내 염분이 높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검지식물(Indicator plant)’로 분류됩니다.

주어진 보기들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이끼류 
이끼류는 종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연해 검지식물이다” 혹은 “아니다”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부 이끼류 중에는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비교적 잘 견디는 종들이 존재합니다(해안 바위 지대 등에서 볼 수 있음).

2) 개여뀌 
‘여뀌’(Polygonum/Persicaria 속) 계열 중에는 습지나 물가, 혹은 약간 염분이 있는 토양에서도 자라는 종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해안가 습지 주변에서도 비교적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연해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식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3) 질경이(Plantago major 등) 
질경이는 인가 주변, 밟히는 길가(footpath) 등에서 흔히 자라는 잡초이지만, 비교적 염분에도 강한 편입니다. 특히 도로나 인도(冬季 제설용 염화칼슘 살포) 주변에서도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염분 저항성”이 어느 정도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자료에서 연해 지역(염해 지역)에서도 비교적 잘 적응할 수 있는 식물 중 하나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4) 밤나무(Castanea crenata) 
밤나무는 주로 산지나 구릉지 등 배수가 잘 되고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잘 자랍니다. 습해나 염해에 비교적 민감한 편이며, 해안가 염분에 직접 노출되는 환경은 선호하지 않습니다. 물론 국내 일부 해안 지역(특히 남해안 등)에 밤나무가 없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해안 염분을 견디는 대표적인 검지식물”로 언급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정리하면, 
- 개여뀌와 질경이는 염분에도 비교적 견디는 편이라 “연해 검지식물”로 언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끼류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해안 바위 지대 등 염분이 있는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는 종류가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연해 검지식물’로 볼 수 있습니다. 
- 밤나무는 일반적으로 염분을 싫어하고 산지성 식물이므로, “연해의 검지식물”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을 물었을 때, 밤나무가 가장 명확하게 제외 대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3) 질경이”가 정답(연해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으로 제시되어 있고, 질문자께서는 이것이 “정답오류”라고 지적하셨습니다.

실제로 질경이는 도로나 인도 주변(제설용 염화칼슘 등)에서도 살아남을 정도로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식물이며, 해안가에서도 자랄 수 있습니다. 반면 밤나무가 염해 지역에 대한 저항성이 높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밤나무야말로 연해 검지식물로 보기 어렵다”라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출제 의도나 해설과 달리, “밤나무(4번)가 더 적합한 오답 후보”라는 지적이 충분히 나올 수 있고, 실제로 대부분의 교재나 현장 지식에 비추어 보아도 밤나무가 해안 염분에 잘 견디는 검지식물로 쓰인다는 예시는 거의 없습니다. 결국 공식 정답을 (3) 질경이로 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어 보이므로, 질문자께서 제기하신 “정답 오류” 주장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 답변 
- 문제에서 ‘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은 것’을 고르라면, 보통은 밤나무(4번)이 그 답에 가깝습니다. 
- 질경이(3번)는 염분 저항성이 있어 오히려 연해 환경에서도 볼 수 있으므로, ‘부적당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 따라서 본 문제에서 3번을 정답으로 제시한 것은 충분히 오류 가능성이 있다고 보이며, 실제로는 4번 밤나무가 ‘연해의 검지식물로 적당치 않다’고 보는 쪽이 더 합리적입니다.
  1. 과목 또는 시행일 탭 내의 과목 및 시행일을 클릭하시면, 해당 과목 및 시행일의 문제만 필터링하여 볼 수 있습니다.
  2. '문제풀이 모드'와 '속성암기 모드' 중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다음문제'를 클릭하시면 동일 시험의 문제 중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다음 문제로 이동합니다.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