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홈 > 학습하기 > 산림기사
산림기사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문제풀이 모드 2 정답률 : -

임도노선의 곡선설정시 사용되는 방법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산출법

진출법

교각법

편각법

,

2 Comments
Daniela 01.16 13:40  
오답
일타쌤 01.16 18:24  
임도(林道) 노선에서 곡선을 설정할 때 commonly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진출법, 교각법, 편각법 등이 있습니다. 

1) 진출법: 일반적으로 “탄젠트(tangent) 방식”이라고도 하며, 교점(PC, PT 등)에서부터 직선부(탄젠트)를 기준으로 곡선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2) 교각법: “deflection angle 방식”이라고도 부르며, 측량 기기를 이용해 각도를 측정하면서 곡선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3) 편각법: 곡선부를 일정 간격의 직선(chord)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 편각(측방 오프셋)을 계산하여 곡선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산출법”이라는 용어는 곡선 설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쓰이지 않으며, 일반적인 도로·임도 곡선 설계에서 공식화된 기법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실제로 곡선 설정에 사용되지 않는 방법은 1번 산출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