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열화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팝업레이어 알림

e881cda2338fe2f54e482e9f188f7c72_1682930450_1093.jpg


ae9bf1983599c20a98079b6bcc492e88_1716346166_1083.png

홈 > 학습하기 > 콘크리트기사
콘크리트기사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열화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속성암기 모드 0 정답률 : -

아래 표의 내용과 같은 열화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89083477_gdFRywaU_1e0916d989ef39c83fdee37ffffdd1b6d5b1aec3.gif

흡수율이 큰 골재를 사용하였을 경우 콘크리트 표층부에 함수율이 높은 골재가 동결하여 팽창함으로써 골재 표면 주위의 모르타르가 탈락되어 표면이 파이는 팝아웃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콘크리트 표면부에 시멘트 풀 또는 모르타르가 동결융해작용에 의해 벗겨져서 표면이 거칠어지는 박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E제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다량의 연행공기는 내부수분이 동결하여 체적이 팽창함에 따라 발생되는 팽창압을 완화시켜 준다.

콘크리트 타설 후 시멘트의 수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내부의 수분이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직경이 큰 공극이 국소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발현되지 않는다.

,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