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도면에서 다음과 같은 단면용 재료 표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팝업레이어 알림

e881cda2338fe2f54e482e9f188f7c72_1682930450_1093.jpg


ae9bf1983599c20a98079b6bcc492e88_1716346166_1083.png

홈 > 학습하기 >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건축도면에서 다음과 같은 단면용 재료 표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문제풀이 모드 2 정답률 : 41%

건축도면에서 다음과 같은 단면용 재료 표시 기호가 나타내는 것은?


2950635498_u5T9I3Pz_c7a12c56ef43c2f81cbf8a454faffa6ce16476f3.gif

석재

인조석

목재 치장재

목재 구조재

,

2 Comments
JeonG22 04.03 22:13  
목재치장제가 아니라 벽돌 표시기호 같아요. 혹시 문제 잘못된 것 아닌지 확인 부탁드려요
일타쌤 04.04 18:26  
실무나 교재마다 약간씩 다르게 표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건축제도나 전산응용건축제도 시험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표준 해칭(하칭) 기호를 사용합니다(「KS 건축제도 기준」이나 관련 교재 등 참조).

1) 벽돌(조적재) 
- 간단히 표현할 때도, 보통은 가로줄·세로줄이 어긋나게 나타나는 “벽돌 쌓기 패턴” 또는 사각형이 연속된 형태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물론 실무 도면에서 간략화해 “빗금만” 그려 넣는 사례도 전혀 없지는 않지만, 시험 문제에서는 벽돌 해칭을 좀 더 독특하게(사각 패턴 등) 구분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2) 목재 치장재(합판, 판넬, 수장재 등) 
- 흔히 “한 방향(대개 45도) 사선만” 그려 넣는 해칭으로 표기합니다. 교재나 문제 해설에서 “목재 마감 또는 목재 치장재는 단일 방향 사선 해칭”이라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그 밖의 다른 재료들(석재, 콘크리트, 인조석 등)은 각자 별도의 해칭 기호를 사용 
- 예: 석재는 불규칙한 점·대각선 교차선 등, 인조석(테라조 등)은 작은 점무늬, 철근콘크리트(RC)는 사선 하칭+철근 기호 추가 등

즉, 문제 그림에 나온 “45도 빗금” 해칭 하나만 보이는 단순 패턴은 시험 기준상 “목재 치장재”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 벽돌은 주로 “쌓는 방식(영식·화링식 등)을 나타내는 사각 패턴” 또는 별도 규칙 해칭으로 표현하는 것이 보편적이라, 단순 빗금만 그린 이 문제를 “벽돌”로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 시험이나 교재에서 제시하는 표준 기호에 따르면, 해당 그림은 “목재 치장재”를 나타내는 해칭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 일부 실무 도면에서는 벽돌을 간략화해 빗금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국가기술자격시험의 제도 기준에서는 벽돌 해칭과 목재 치장재 해칭을 구분해서 내는 편이므로, 문제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1. 과목 또는 시행일 탭 내의 과목 및 시행일을 클릭하시면, 해당 과목 및 시행일의 문제만 필터링하여 볼 수 있습니다.
  2. '문제풀이 모드'와 '속성암기 모드' 중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다음문제'를 클릭하시면 동일 시험의 문제 중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다음 문제로 이동합니다.